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체 장애인의 정의와 종류 치료에 대한 이해

by 티이트리 2023. 3. 18.

장애인의 종류를 세분화해서 나누면 지체장애를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된다. 이런 지체 장애인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또 어떤 치료를 해야 하는지 일상생활에서는 어떤 제약을 받는지 알아보자. 장애인 통계에 따르면 지체장애인이 가장 많은 비중이 차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태어날 때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나오는 뇌성마비가 대표적이고, 교통사고, 일상생활, 일하는 현장등 다방면에서 신체적 사고를 얻어서 생기는 것이 지체장애이다.

 

지체 장애인의 정의와 종류 치료에 대한 이해

지체 장애인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지체 장애는 팔다리의 장애와 몸통의 장애로 구분되어 진다. 이는 본래의 기능 수행에 제약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한 수준의 장애부터 절단과 같은 영구적 기능 손상까지 그 범위가 넓다. 지체 장애가 발생되는 원인을 살펴보면 선적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으로 나뉘게 된다. 선천성 원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형이나 뇌성마비, 근육질환이 있다. 또 후천적 원인은 사고 인한 척수손상이나 후유증이 있는데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절단이나 괴사 등이 있다. 이런 원인들로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을 받는 사람들을 이야기하는데 이는 신체의 특정 부위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거나 이동하거나, 움직이는데 제약을 받기 때문에 일상적인 활동에서 크게 제약을 받게 된다.  뇌성마비는 태어날 때 뇌 손상을 일으켜 부분적 또는 양측 마비로 진단된다. 척수손상은 교통사고나 낙상과 같은 외상이나 질병에 의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근육질환은 근육 손상으로 인한 질병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근육폐쇄증, 근위축증, 근이영양증 등과 같은 근육질환이다. 또한, 팔다리나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의 상실은 그 정도에 따라 신체적 장애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 제약과 지체장애의 보조장비의 종류

신체 장애가 있으면 일상생활에 매우 많은 불편을 호소하게 된다. 걷거나, 먹거나, 앉거나, 씻는 등 일반인들이 매주 쉽게 할 수 있는 일도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은 활동에 크게 제약을 받게 된다. 걷기는 휠체어 등의 이동 보조 기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숟가락 젓가락 등의 기구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움직임이 제한적이다 보니 혼자 씻기도 어렵고 화장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도 어려워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지체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개인의 일상 활동에 큰 제약을 받는다는 것이다.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은 보조장비는 꼭 필요한 장비이다. 이러한 장비는 보행보조기, 전동휠체어, 그리고 이동을 돕는 다양한 보조기구가 포함된다. 수유의자의 경우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이 편안하게 아이에게 수유를 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일반인들도 많이 사용하는 전동칫솔은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전동칫솔은 손을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들이 쉽게 이를 닦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재활치료와 장애인 전용시설의 이해

재활치료는 지체장애인들이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재활치료에는 물리치료, 작업치료, 전기치료. 언어치료가 포함되어 있다. 물리치료는 관절의 유연성과 근력의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업치료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일상 업무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훈련함으로써 스스로 자립과 독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기치료는 불편한 몸에 전기를 자극하여 근육이 더 이상 굳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 물리치료 기법 중 하나다. 언어치료는 의사소통에 어려운 사람들에게 언어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장애인 전용시설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시설 제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장애인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로를 만들어주고, 엘리베이터를 만들어 계단과 같은 장애물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이다. 걸음이 불편한 신체 장애인이 자립적으로 걸을 수 있도록 벽에 손잡이를 만들어 잡고 걸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또 장애인들을 위한 화장실을 만드는 것이다. 전동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도록 자동문과 넓은 공간을 만들어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